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콘텐츠35

<도적: 칼의 소리> 넷플릭스 드라마-서부 영화 컨벤션의 외피를 입은 액션 시대극 1. 서부 영화의 컨벤션(convention) 넷플릭스 드라마 는 어디서 본 듯한 액션과 장면들로 가득하다. 어디서 본 것일까 했더니 필자가 어린 시절 봤던 서부 영화의 컨벤션 때문이었다. '컨벤션'은 흔히 '행사', '총회', '전시회', '모임', '이벤트' 등의 뜻으로 알려져 있으나 콘텐츠에서의 '컨벤션'은 이미 익숙한 요소들을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영화 방식을 말한다. 즉, 장르적 특성인 장르마다 나타나는 반복되는 요소들을 뜻한다. 예를 들어, 공포 영화의 컨벤션이라면 갑자기 튀어나오는 물체나 캐릭터, 소름 끼치는 사운드, 블루 톤이나 화이트 톤 혹은 블랙 톤의 색채, 열어보지 말라고 했는데 꼭 열어보는 캐릭터의 행동 등이 있다. 서부 영화에는 프로타고니스트와 안타고니스트의 살벌한 대결, 추격전이나.. 2023. 10. 4.
<맛있는 영화> 넷플릭스 영화-음식과 사람이 주는 위로 1. 음식을 생각하다 꼭 배가 고파서만 음식을 먹지 않는다. 때로 배가 부른 상태에서도 먹고, 배는 부르지 않은데 입이 뭔가를 자꾸 넣어달라고 해서 먹고, 먹방 TV에 나오는 어마어마한 양의 음식을 보고 따라먹기도 하며, 먹어도 먹어도 허해서 또 먹기도 한다. 이때 우리는 배가 고파서가 아니라 마음이 고파서 혹은 마음이 허해서 먹는다고 한다. 배고픔을 느끼는 것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태생적 현상이어서 위를 채워주면 배고픔이라는 위기에서 벗어나서 기분이 좋아지고 이완된다. 어떤 드라마 장면에서 등장한 엄마가 양푼이에 많은 양을 비빔밥을 만들어서 먹는 모습을 본 자식이 왜 그렇게 많이 먹냐고 타박하자, 엄마는‘이 나이에는 먹어도 먹어도 허기가 진다.’고 했다. 이때 허기는 신체적인 반응이 아니라 심리적인 반.. 2023. 9. 27.
<메간(m3gan)> 넷플릭스 영화-강한 AI의 불편한 집착 1. 강한 AI(Strong A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vs 약한 AI(Weak AI, Narrow AI) '강한 AI'와 '약한 AI'는 인공지능의 능력과 범위에 대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강한 AI'는 강한 인간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도메인에서 사고하고 학습할 수 있으며, 추론, 문제 해결, 자기 학습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강한 AI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능합니다.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아직 강한 AI를 실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만 이를 향해 연구와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약한 AI'는 특정 작업이나 한정된 도메.. 2023. 9. 16.
<고양이와 할아버지> 넷플릭스 영화-고양이, 사람, 그리고 음식의 따뜻한 연결 1. 반려동물 단상 오늘날 특히 반려동물과 음식은 인간에게 힐링을 주는 대표적 대상이 아닐까 싶다.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나 고양이 등을 한때는 ‘애완동물’이라고 불렀다가 현재는 ‘반려동물’로 부르고 있다. ‘애완(愛玩)’의 완(玩)이 ‘희롱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서 ‘애완’이 ‘동물을 희롱하다’로 해석되다 보니 ‘인생의 동무가 되는 동물’을 뜻하는 ‘반려(伴侶) 동물’‘반려(伴侶) 동물’이라는 용어로 변경해서 쓰자는 의견이 다수가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반려동물은 자신과 함께 사는 사람이 어떤 외모를 하고 있건, 어떤 직업을 가졌건, 어떤 경제 상태에 놓여있건 아랑곳하지 않고 그에게 무한 애정을 쏟는다. 그래서.. 2023. 8. 26.
반응형